히로타 스미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히로타 스미오는 일본의 전 프로 야구 선수이자 코치, 야구 해설가이다. 1972년 지바 롯데 마린스에 입단하여 중견수로 활약하며 1974년 일본 시리즈 MVP를 수상했고, 5년 연속 다이아몬드 글러브상을 받았다. 1975년에는 최다 안타 타이틀을 획득했으며, 한신 타이거스에서 선수 생활을 이어가다 은퇴 후 코치로 활동했다. 2006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일본 대표팀 코치를 역임했으며, 시코쿠 규슈 아일랜드 리그의 고치 파이팅 독스 감독을 맡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롯데 오리온스 선수 - 장훈
장훈은 일본 히로시마 출신의 재일 한국인 야구 선수이자 해설가로, 일본 프로야구에서 최다 안타 기록과 3,000안타-500홈런-300도루라는 이례적인 기록을 보유했으며, 은퇴 후에는 해설가로 활동하며 논란을 일으키기도 했지만 대한민국 국민훈장 무궁화장을 수상했다. - 롯데 오리온스 선수 - 오치아이 히로미쓰
오치아이 히로미쓰는 일본 프로 야구 선수로서 롯데, 주니치, 요미우리, 닛폰햄에서 활약하며 3번의 타격 3관왕, 양대 리그 홈런왕과 타점왕 석권 등 굵직한 족적을 남겼고, 은퇴 후 주니치 드래건스 감독으로서 일본 시리즈 우승을 이끌었으며, 2011년 일본 야구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 고치현 출신 - 고토쿠 슈스이
고토쿠 슈스이는 일본의 사회주의자, 무정부주의자, 언론인, 사상가로서 사회민주당 창당 참여, 러일전쟁 반대 운동 주도, 언론 활동, 무정부주의 전향, 직접행동론 주장 등의 활동을 펼치다 대역사건으로 사형당했으며, 그의 사상은 일본 사회주의, 무정부주의 운동, 문학계, 한국 독립운동에 영향을 미쳤다. - 고치현 출신 - 아리카와 히로
아리카와 히로는 2003년 《소금의 마을》로 데뷔한 일본의 소설가로, 자위대를 소재로 한 작품과 《도서관 전쟁》 시리즈 등으로 인기를 얻었으며, 다양한 작품이 영화 등으로 제작되었다. - 2006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에 관한 - 박찬호
박찬호는 한국인 최초로 메이저 리그에 진출하여 아시아 출신 투수 최다승 기록을 세운 전직 야구 선수로, 메이저 리그와 KBO 리그에서 활약했으며 국가대표로도 금메달을 획득했다. - 2006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에 관한 - 박용택
박용택은 LG 트윈스에서 19시즌 동안 활약하며 KBO 리그 최초로 통산 2500안타를 달성하고 도루왕, 타격왕, 골든글러브 수상 등 많은 기록을 남긴 후 은퇴하여 해설위원으로 활동하며, LG 트윈스에서 그의 등번호를 영구결번으로 지정했다.
히로타 스미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히로타 스미오 |
원어 이름 | llang: ja 내용: 弘田 澄男 |
로마자 표기 | Sumio Hirota |
출생일 | 1949년 5월 13일 |
출생지 | 고치현 스쿠모시 |
신장 | 163 |
체중 | 67 |
타석 | 우 |
투구 | 우 |
수비 위치 | 외야수 |
선수 경력 | |
아마추어 | 고치 고등학교 시코쿠 은행 |
프로 | 롯데 오리온스 (1972년 ~ 1983년) 한신 타이거스 (1984년 ~ 1988년) |
드래프트 정보 | |
NPB 드래프트 | 1971년 드래프트 3순위 |
첫 출장 | 1972년 4월 8일 |
마지막 출장 | 1987년 4월 25일 |
기록 | |
타율 | .276 |
홈런 | 76 |
타점 | 487 |
도루 | 294 |
수상 | |
주요 수상 | 1974년 일본 시리즈 MVP |
감독 및 코치 경력 | |
코치 | 한신 타이거스 (1988년 ~ 1991년) 요코하마 다이요 웨일스/요코하마 베이스타스 (1992년 ~ 1997년) 요미우리 자이언츠 (1998년 ~ 2001년, 2004년 ~ 2005년) 요코하마 베이스타스 (2007년 ~ 2008년) 고치 파이팅 독스 (2012년 ~ 2013년) |
감독 | 고치 파이팅 독스 (2014년 ~ 2015년) |
2. 선수 시절
히로타 스미오일본어는 고치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시코쿠 은행을 거쳐, 1972년 프로 야구 드래프트 회의에서 롯데 오리온스로부터 3순위 지명을 받아 입단했다. 투지가 넘치는 플레이와 빠른 발, 완벽한 호수비를 가졌으며, 1973년부터 1977년까지 다이아몬드 글러브상(현재의 골든 글러브상)을 5년 연속 수상했다. 신인 때부터 11년 연속 두 자릿수 도루를 기록했고, 1980년에는 개인 최다인 41개의 도루를 기록했다.
1984년 후지쿠라 가즈마사와 맞트레이드로 한신 타이거스로 이적해, 이적 첫 해인 1984년 시즌에는 3할 1푼 3리의 타율을 기록했다. 이듬해인 1985년 리그 우승과 일본 시리즈 우승을 동시에 이끌었다. 1988년 시즌에는 1군 경기에 한 번도 출전하지 않아 그 해를 마지막으로 현역에서 은퇴했다.
고등학교 시절, 히로타 스미오일본어는 2학년 때 봄의 선발에 중견수로 출장했지만, 2회전에서 요나고히가시 고등학교에 패했다. 같은 해 여름 예선 남시코쿠 대회 준결승에서 토사고에 패했다.
봄의 선발에도 3루수로 연속 출장, 에이스 미모토 다카시(일본석유)와 함께 결승에 진출했다. 그러나 쓰쿠미 고등학교의 키라 슈이치 투수에게 막혀 연장 12회 접전 끝에 1-2로 패하며 준우승했다. 같은 해 여름 예선 남시코쿠 대회 준결승에서 도쿠시마 공업고에 패했다.
고등학교 졸업 후, 사회인 야구 시코쿠 은행에 입행했다. 도시 대항 야구에 보강 선수로 4년 연속 출장했다. 도시 대항 야구에서는 마루젠 석유의 보강 선수로 2번 타자로 활약하며 결승에 진출했다. 결승에서는 미사와 쥰, 사사키 쿄스케가 있던 신일본제철 히로하타에 패했지만, 팀의 준우승에 기여했다.
2. 1. 롯데 오리온스 시절 (1972년 ~ 1983년)
広田 順일본어는 시코쿠 은행을 거쳐 1972년 프로 야구 드래프트 회의에서 롯데 오리온스로부터 3순위 지명을 받아 입단했다. 당시 신장 163cm의 작은 체구였지만, 프로 2년 차인 1973년에 사이클링 안타를 달성하는 등 중견수로 활약했다.[1][2] 1973년 7월 11일 닛타쿠 홈 플라이어스전에서 사이클 안타를 달성했고, 첫 규정 타석 (리그 10위, 타율 .295)에도 도달했다.1974년 일본 시리즈에서는 센트럴 리그 우승팀인 주니치 드래건스와의 대결에서 상대 투수 호시노 센이치로부터 팀의 우승을 결정짓는 안타를 기록해 시리즈 MVP로 선정되었다.[1] 1차전 4회초 미사와 준에게서 솔로 홈런, 2차전 8회초 호시노 센이치에게서 동점 적시타, 4차전 6회말 시부야 코하루에게서 솔로 홈런을 쳤고, 25타수 10안타 7타점을 기록했다. 최종 6차전에서는 연장 10회초 호시노 센이치에게서 일본 시리즈 우승을 결정짓는 결승 적시 2루타를 날렸다.
1973년부터 1977년까지 다이아몬드 글러브상(현재의 골든 글러브상)을 5년 연속 수상했다. 신인 때부터 11년 연속 두 자릿수 도루를 기록했고, 1980년에는 개인 최다인 41개의 도루를 기록했다.
1975년에는 타율 .301 (리그 5위)로 처음으로 3할을 넘었고, 리그 최다 148안타를 기록했다 (당시에는 최다 안타 타이틀은 없었다). 그 해부터 2년 연속으로 베스트 나인에 선정되었다. 이후에도 오리온스의 리드오프맨으로 오랫동안 활약하며, 3번의 전반기 우승에 기여했다.
한큐 브레이브스의 야마다 히사시[5]와 야마구치 타카시를 상대로는 약했지만, 1981년 9월 16일에는 니시노미야 구장에서 야마다에게서 좌측 방향으로 홈런성 타구를 외야 펜스에 매달려 있던 야마모리 마사후미가 잡아 아웃이 되자, 히로타 스미오는 "홈런 한 개 손해봤네"라고 말했다.[1] 야마구치와의 상대 전적은 통산 타율 .386, 안타도 최다인 22개를 기록했다.[6]
1978년부터 롯데의 본거지였던 가와사키 구장에 대해서는 "외야에 구멍이 뚫려 있고 울퉁불퉁하고, 어둡고, 쥐가 나오고, 처음에는 화장실에서 물도 안 나오고, 최악의 구장이었습니다. (1978년 시점의) 다른 퍼시픽 리그 구장도 형편없었고, 좋았던 것은 고라쿠엔 구장과 니시노미야 구장 정도였습니다."[1]라고 말했다.
2. 2. 한신 타이거스 시절 (1984년 ~ 1988년)
1984년 후지쿠라 가즈마사와 맞트레이드로 한신 타이거스에 이적하여[1] 그 해 3할 1푼 3리의 타율을 기록했다.[1] 1985년에는 한신 타이거스의 리그 우승과 일본 시리즈 우승에 기여했다.[1] 1988년 시즌에는 1군 경기에 출전하지 못하고 현역에서 은퇴했다.[1]3. 지도자 경력
2014년부터 2015년까지 시코쿠 아일랜드 리그 팀인 고치 파이팅 독스의 감독을 역임했다.[17] 2014년에는 팀의 연속 최하위를 멈추게 했지만, 2015년에는 다시 전후기 모두 최하위로 떨어지면서 시즌 종료 후인 10월 26일에 퇴임이 발표되었다.[13]
3. 1. 코치 시절
1989년 한신 타이거스 1군 외야 수비 주루 코치를 시작으로, 1990년에는 한신 1군 타격 코치, 1991년에는 다시 한신에서 1군 외야 수비 주루 코치를 맡았다. 1992년부터 1997년까지는 요코하마 다이요 웨일스·요코하마 베이스타스에서 1군 외야 수비 주루 코치와 야수 코치를 역임했다. 특히 요코하마 코치 시절에는 오야 아키히코 감독의 지휘 아래 사실상 수석 코치를 맡아 팀의 약진에 기여했다.[17] 타니시게 모토노부는 "히로타 씨(당시 외야 수비 주루 코치)에게 외야 수비 연습을 엄청 시켰죠. 히로타 씨의 노크가 또 능숙했습니다."라고 회상했다.[9]1998년에는 요미우리 자이언츠 2군 외야 수비 주루 코치, 1999년부터 2000년까지 요미우리 1군 외야 수비 주루 코치, 2001년 요미우리 1군 타격 코치를 맡았다. 2004년부터 2005년에는 요미우리 1군 외야 수비 주루 코치(2005년은 타격 보좌 겸임)를 역임했다.[17] 타카하시 요시노부가 한눈에 반할 정도의 타격 장인이었다.[1] 2005년 요미우리 코치 시절, 타피 로즈의 부실한 플레이에 대해 덕아웃에서 몸싸움이 벌어지기도 했다.
2006년에는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일본 대표팀의 외야 수비 주루 코치를 역임하여 세계 제패에 공헌했고,[10] 이후 J SPORTS의 야구 해설위원과 스포츠 호치의 평론가로 활동했다.
2007년부터는 오야 아키히코 감독이 이끄는 요코하마에서 수석 코치로 취임했지만, 기대 이하의 성적 부진으로 2008년 시즌 종료 후 코치직에서 물러났다. 이후 요코하마 구단 프런트에서 편성 부문을 담당했다.[17]
2012년, 시코쿠 규슈 아일랜드 리그 팀인 고치 파이팅 독스의 구단 어드바이저 겸 종합 코치로 부임했고,[11] 2014년부터 2015년까지 고치의 감독을 맡았다.[12][13][17]
3. 2. 고치 파이팅 독스 감독 시절 (2014년 ~ 2015년)
, 시코쿠 아일랜드 리그 플러스·고치 파이팅 독스의 구단 어드바이저 겸 종합 코치로 취임했다.[11] 2014년부터 2015년까지 고치 파이팅 독스의 감독을 맡았다.[12] 재임 중 2014년에 팀의 연속 최하위를 멈췄지만, 2015년은 다시 전후기 모두 최하위가 되어, 시즌 종료 후 10월 26일에 퇴임이 발표되었다.[13]4. 은퇴 후
1989년 한신 타이거스 1군 외야 수비 주루 코치를 시작으로, 1990년에는 한신 1군 타격 코치, 1991년에는 다시 한신에서 1군 외야 수비 주루 코치를 맡았다. 1992년부터 1997년까지는 요코하마 다이요 웨일스·요코하마 베이스타스에서 1군 외야 수비 주루 코치와 야수 코치를 역임했다. 특히 요코하마 코치 시절에는 오야 아키히코 감독의 지휘 아래 사실상의 수석 코치를 맡아 팀의 약진에 기여했다.[17] 타니시게 모토노부는 "히로타 씨(당시 외야 수비 주루 코치)에게 외야 수비 연습을 엄청 시켰죠. 히로타 씨의 노크가 또 능숙했습니다."라고 회상했다.[9]
1998년에는 요미우리 자이언츠 2군 외야 수비 주루 코치, 1999년부터 2000년까지 요미우리 1군 외야 수비 주루 코치, 2001년 요미우리 1군 타격 코치, 2004년부터 2005년까지는 요미우리 1군 외야 수비 주루 코치(2005년은 타격 보좌 겸임)를 역임했다.[17] 타카하시 요시노부가 한눈에 반할 정도의 타격 장인이었다.[1]
2006년에는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일본 대표팀의 외야 수비 주루 코치를 역임했고, J SPORTS의 야구 해설위원과 스포츠 호치의 평론가로 활동했다. 2007년부터는 오야 아키히코 감독이 이끄는 요코하마에서 수석 코치로 취임했지만, 기대 이하의 성적 부진과 팀이 최하위로 떨어진 것에 대한 책임을 물어 2008년 시즌 종료 후 코치직에서 물러났고, 그 후 요코하마 구단 프런트에서 편성 부문을 담당했다.[17]
2012년, 시코쿠 규슈 아일랜드 리그 팀인 고치 파이팅 독스의 구단 어드바이저 겸 종합 코치로 부임했고,[11] 2014년부터 2015년까지 고치의 감독으로 부임하였다.[12] 2014년에 팀의 연속 최하위를 멈췄지만, 2015년은 다시 전후기 모두 최하위가 되어, 시즌 종료 후 퇴임하였다.[13]
2019년 현재는 모교인 고치 고등학교에서 주말에 야구부 코치를 하고 있다.[1]
5. 선수로서의 특징
히로타 스미오는 163cm의 작은 체구에도 불구하고, "이케이케 타법"이라고 불리는 풀 스윙을 구사했다. 입단 후 11년 연속 두 자릿수 도루를 기록할 만큼 빠른 발[14]과 견실한 외야 수비[15]가 강점이었다. 롯데 시절에는 빠른 발과 정확한 타격을 겸비한 리드오프(1번 타자)로 활약했고[14], 한신 타이거스 시절에는 주로 2번 타자로 출전하여 팀 공격을 중심 타선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맡았다. 특히 희생 번트를 잘 댔다[15]. 코치 시절에도 배트 컨트롤이 뛰어나 노크의 명수로 알려졌다[16].
타고난 승부 근성과 끊임없는 연구를 통해 약점을 극복하고 프로 선수로서 성공을 거두었다[15].
주판에 능숙하며, 손재주가 뛰어나 지폐 묶음을 세는 데에도 뛰어났다고 한다[14].
6. 수상 및 타이틀 경력
히로타 스미오는 선수 시절 다음과 같은 상을 받았다.
- 베스트 나인: 2회 (1975년, 1976년)
- 다이아몬드 글러브상: 5회 (1973년 ~ 1977년)
- 일본 시리즈 MVP: 1회 (1974년)
- 최다 안타: 1회 (1975년) ※당시 연맹 표창 없음
1973년부터 1977년까지 5년 연속 다이아몬드 글러브상을 받았고, 1974년 일본 시리즈에서는 주니치 드래건스를 상대로 팀의 우승을 결정짓는 안타를 기록하여 MVP로 선정되었다.[1] 1975년에는 리그 최다 안타를 기록하며 베스트 나인에 선정되었고, 이듬해에도 베스트 나인에 뽑혔다.
6. 1. 타이틀
소속 팀 |
---|
타이틀 |
---|
6. 2. 수상
- 베스트 나인: 2회 (1975년, 1976년)[1]
- 다이아몬드 글러브상: 5회 (1973년 ~ 1977년)[1]
- 일본 시리즈 MVP: 1회 (1974년)[1]
7. 개인 기록
달성 내용 | 달성일 | 상대팀 | 구장 | 비고 |
---|---|---|---|---|
1000경기 출장 | 1980년 9월 30일 | 닛폰햄 파이터스 | 가와사키 구장 | 역대 220번째 |
1000안타 | 1980년 10월 4일 | 세이부 라이온즈 | 가와사키 구장 | 역대 119번째 |
1500경기 출장 | 1985년 8월 30일 | 요코하마 다이요 웨일스 | 한신 고시엔 구장 | 역대 82번째 |
1500안타 | 1986년 9월 27일 | 야쿠르트 스왈로스 | 한신 고시엔 구장 | 역대 52번째 |
사이클 히트 | 1973년 7월 11일 | 닛타쿠 홈 플라이어스 | 메이지 진구 야구장 | 역대 26번째 |
올스타전 출장 | 1974년, 1975년, 1977년 | 3회 |
7. 1. 첫 기록
- 첫 출장: 1972년 4월 8일, 대 긴테쓰 버펄로스 1차전(도쿄 스타디움), 3회에 야마자키 히로유키를 대신하여 2루수로 출장
- 첫 안타: 1972년 5월 17일, 대 긴테쓰 버펄로스 5차전(니세이 구장), 9회에 니시다 타카유키의 대타로 출장, 스즈키 케이지로부터
- 첫 선발 출장: 1972년 7월 4일, 대 난카이 호크스 13차전(오사카 스타디움), 1번·중견수로 선발 출장
- 첫 타점: 1972년 7월 8일, 대 긴테쓰 버펄로스 11차전 (도쿄 스타디움), 3회에 기요시 도시히코로부터 적시타
- 첫 홈런: 1972년 7월 20일, 대 한큐 브레이브스 14차전 (도쿄 스타디움), 2회에 이시이 시게오로부터 3점 홈런
7. 2. 기록 달성 경력
달성 내용 | 달성일 | 상대팀 | 구장 | 비고 |
---|---|---|---|---|
1000경기 출장 | 1980년 9월 30일 | 닛폰햄 파이터스 | 가와사키 구장 | 역대 220번째 |
1000안타 | 1980년 10월 4일 | 세이부 라이온즈 | 가와사키 구장 | 역대 119번째 |
1500경기 출장 | 1985년 8월 30일 | 요코하마 다이요 웨일스 | 한신 고시엔 구장 | 역대 82번째 |
1500안타 | 1986년 9월 27일 | 야쿠르트 스왈로스 | 한신 고시엔 구장 | 역대 52번째 |
7. 3. 기타
- 사이클 히트: 1973년 7월 11일, 대 닛타쿠 홈 플라이어스 전기 12차전(메이지 진구 야구장) ※역대 26번째
- 올스타전 출장: 3회 (1974년, 1975년, 1977년)
참조
[1]
서적
【完全保存版】ロッテ70年史 1950-2019 ~記憶に残るオリオンズ&マリーンズ全史~ (B.B.MOOK1450) 弘田澄男「カネやんロッテの斬り込み隊長」
ベースボール・マガジン社
2019-05-29
[2]
문서
[3]
뉴스
【ダンカンが訪ねる昭和の侍】弘田澄男さん「いまだに不思議」ホームイン寸前に捕手が足を出し「7、8メートル飛んだ」 (1/3ページ) - 野球 - SANSPO.COM(サンスポ)
https://web.archive.[...]
[4]
웹사이트
直近は小久保、イチローも達成?激レアなランニング満塁ホームラン。
https://number.bunsh[...]
Number Web
2017-09-28
[5]
문서
[6]
간행물
1975-1982 山口高志と阪急ブレーブス、幻の剛球伝説
ベースボールマガジン
2023-04
[7]
웹사이트
田尾5敬遠で首位打者獲得の舞台裏――「大洋ホエールズOB」としての長崎慶一さんに会いに行く(後編)文春野球コラム ペナントレース2019
https://bunshun.jp/a[...]
文春オンライン
2019-11-10
[8]
서적
虎のスコアラーが教える「プロ」の野球観戦術
祥伝社
2013
[9]
간행물
谷繁元信×佐伯貴弘「ベイスターズは一日にしてならず」
ベースボールマガジン
2022-06
[10]
웹사이트
第1回WBC侍ジャパン外野守備走塁コーチ 弘田 澄男氏が語る『欧州代表』との一戦
http://www.japan-bas[...]
野球日本代表、侍オフィシャルサイト
2015-03-04
[11]
웹사이트
高知FD 球団アドバイザー 兼 総合コーチ就任
http://bkp.iblj.co.j[...]
四国アイランドリーグplus
2012-01-31
[12]
웹사이트
【チーム】新監督就任のお知らせ
http://www.fighting-[...]
高知ファイティングドッグス
2013-11-25
[13]
뉴스
FD総監督に江本氏が就任 弘田氏は今季限りで退任へ
http://www.kochinews[...]
高知新聞
2015-10-27
[14]
웹사이트
有藤道世、弘田澄男&横田真之「オリオンズの星となった高知の“いごっそう”たち」/プロ野球20世紀の男たち
https://column.sp.ba[...]
2021-04-08
[15]
웹사이트
1985 阪神日本一 写真特集:時事ドットコム
https://www.jiji.com[...]
2021-04-08
[16]
Youtube
【阪神優勝】1985年開幕投手に選ばれた親さんを襲った悲劇とは?【広島カープ達川光男さん】【慶彦ごめんなさいシリーズ】【高橋慶彦】【池田親興】
https://www.youtube.[...]
[17]
웹사이트
고치 파이팅 독스 구단 어드바이저 겸 종합 코치 취임
http://www.iblj.co.j[...]
시코쿠 규슈 아일랜드 리그 홈페이지
2012-06-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